임시전국위원회 회의결과
■ 시간 : 2021-10-03 오후 1시
■ 장소 : 온라인(줌)
■ 성원 : 30명
참석 22명(존칭생략, 가나다순) : 김소라(청년), 김예원(전국), 김찬휘(전국), 김혜현(경기), 남교용(울산), 명창희(인천), 부순정(제주), 송훈상(경남), 신현정(청년), 오영주(당무), 오현화(대전), 이상현(서울), 이재혁(충남), 이정옥(경남),이치선(정책), 임준연(전북), 임창곤(광주), 장은현(경북), 전길선(경기), 정유현(전국), 최시영(충북), 현영애(서울)
불참 8명 : 김승렬(당무), 김은희(충남), 문근영(당무), 서형원(당무), 이건웅(청소년), 이하영(당무), 장우석(대구), 장윤경(대구)
참관 6명 : 김범일(경북), 성미선(경기), 윤동섭(서울), 이은호(기후정의위), 장정희(대구), 조준희(전국)
■ 회의진행 : 김찬휘 공동대표
■ 기록 : 정유현 사무처장
■ 전차 회의록을 만장일치로 승인함
■ 논의안건 회순을 안건순으로 진행하기로 함
■ 논의안건1.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전략과 방향 승인의 건
주문사항: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전략과 방향에 대해 승인해 주십시오.
수정안 제출(서울 이상현, 청년 신현정)
- 2022 대통령선거 전략의 ‘4) 기후운동 연대체의 기후후보 추대에 실패할 시 -> 기후운동 연대를 계속하면서, 기후운동의 대의에 공감하는 특정 후보와 정책연합을 할지 특정 후보를 지지할지는 그때 논의함’을 ‘기후운동 연대체의 기후후보 추대에 실패할 시 -> 기후운동 연대를 계속하면서, 기후운동의 대의에 공감하는 특정 후보에 대한 정책연합 또는 지지표명 여부는 당원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절차에 따라 진행함’으로 수정한다.
- 2022 지방선거 기조 및 목표의 3) ‘기초지역 1개 이상의 당선자 배출’을 ‘1명 이상의 당선자 배출’로 수정한다.
|
찬성(19명): 당무 오영주, 경기 전길선, 충북 최시영, 제주 부순정, 서울 현영애, 전국 김예원, 경남 이정옥, 청년 신현정, 경기 김혜현, 인천 명창희, 청년 김소라, 경남 송훈상, 대전 오현화, 전북 임준연, 전국 김찬휘, 서울 이상현, 충남 이재혁, 경북 장은현, 정책 이치선
반대(0명)
기권(1명): 전국 정유현
=> 찬성이 과반수가 넘어 수정안이 통과됨.
■ 논의안건2. 공직후보자자격심사 당규신설안 및 후보자자격심사위원회 구성 승인의 건
주문사항1. 공직후보자자격심사 당규신설안을 논의하여 승인해 주십시오.
수정안 제출(전국 김예원)
제14조 ③(수정안) 광역시도당 자격심사위는 자격심사위 위원장 1인을 포함하여 3인 이상 7인 이하로 구성하며, 5인 이상인 경우에는 공동위원장 2인을 포함하여야 한다. 위원장과 위원은 광역시도당 운영위원장이 추천하고 운영위원회가 승인하여 구성한다. 제20조 ① 광역시도당 운영위원장은 제14조에 따른 자격심사위 설치를 하지 못하였거나, 설치가 어렵다고 판단한 경우 공직후보자 자격 심사를 전국당 자격심사위에 위임할 수 있다. |
=> 수정안을 전원합의로 승인함.
주문사항2. 후보자자격심사 당규 신설안에 따라, 후보자 자격심사위 구성안 및 승인 절차를 논의하여 승인해 주십시오.
=> 공동대표가 추천한 전국당 자격심사위 구성을 전원합의로 승인함.
■ 논의안건3. 녹색당 2022 선거특별위원회 임기 관련 논의의 건
=> 녹색당 2022 선거특별위원회의 임기 종료를 전원합의로 승인함.
■ 논의안건4.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 구성안 승인의 건
주문사항1.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 구성(안)을 승인해주십시오.
=> 찬성이 과반수가 넘어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 구성(안)이 통과됨.
찬성(18명): 서울 현영애, 인천 명창희, 청년 신현정, 서울 이상현, 경기 김혜현, 경남 송훈상, 전국 김예원, 청년 김소라, 대전 오현화, 전국 김찬휘, 충북 최시영, 전국 정유현, 당무 오영주, 경기 전길선, 전북 임준연, 충남 이재혁, 광주 임창곤, 정책 이치선
반대(0명):
기권(2명): 제주 부순정, 경남 이정옥
기권의견(제주 부순정): 지역당의 역할이 정확히 무엇인지 이해할 수 없음. 내용 숙지가 잘 안된 상태여서 표결에 참여할 수 없었음. 지역당 역할을 좀더 고민하고 결정해야한다고 생각했음.
주문사항2.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의 선거대책본부장을 위촉하여 주십시오.
=>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장으로 김예원 공동대표, 김찬휘 공동대표를 전원합의로 위촉함.
■ 논의안건5.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모금전략 논의의 건
=> 제출된 선거모금전략을 논의하였으며, 상세한 모금전략 기획은 전원합의로 선거대책본부에 위임하기로 함.
■ 당원발의안건1. 녹색당 풀뿌리 시민의회 추진안
※당규 <회의규정> 제11조 제2항에 따라, 당권자의 총 1%가 동의하여 안건으로 발의함.
=> 대표발의한 이상현 전국위원이 안건을 철회하고,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차기 전국위원회에서 다시 발의하기로 함.
■ 차기 전국위원회 일정
=> 2021년 11월 7일(일) 오후 1시, 온라인(추후 변경될 수 있음)으로 개최한다.
녹음기록 듣기
회의자료 보기
임시전국위원회 회의결과
■ 시간 : 2021-10-03 오후 1시
■ 장소 : 온라인(줌)
■ 성원 : 30명
참석 22명(존칭생략, 가나다순) : 김소라(청년), 김예원(전국), 김찬휘(전국), 김혜현(경기), 남교용(울산), 명창희(인천), 부순정(제주), 송훈상(경남), 신현정(청년), 오영주(당무), 오현화(대전), 이상현(서울), 이재혁(충남), 이정옥(경남),이치선(정책), 임준연(전북), 임창곤(광주), 장은현(경북), 전길선(경기), 정유현(전국), 최시영(충북), 현영애(서울)
불참 8명 : 김승렬(당무), 김은희(충남), 문근영(당무), 서형원(당무), 이건웅(청소년), 이하영(당무), 장우석(대구), 장윤경(대구)
참관 6명 : 김범일(경북), 성미선(경기), 윤동섭(서울), 이은호(기후정의위), 장정희(대구), 조준희(전국)
■ 회의진행 : 김찬휘 공동대표
■ 기록 : 정유현 사무처장
■ 전차 회의록을 만장일치로 승인함
■ 논의안건 회순을 안건순으로 진행하기로 함
■ 논의안건1.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전략과 방향 승인의 건
주문사항: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전략과 방향에 대해 승인해 주십시오.
수정안 제출(서울 이상현, 청년 신현정)
찬성(19명): 당무 오영주, 경기 전길선, 충북 최시영, 제주 부순정, 서울 현영애, 전국 김예원, 경남 이정옥, 청년 신현정, 경기 김혜현, 인천 명창희, 청년 김소라, 경남 송훈상, 대전 오현화, 전북 임준연, 전국 김찬휘, 서울 이상현, 충남 이재혁, 경북 장은현, 정책 이치선
반대(0명)
기권(1명): 전국 정유현
=> 찬성이 과반수가 넘어 수정안이 통과됨.
■ 논의안건2. 공직후보자자격심사 당규신설안 및 후보자자격심사위원회 구성 승인의 건
주문사항1. 공직후보자자격심사 당규신설안을 논의하여 승인해 주십시오.
수정안 제출(전국 김예원)
제14조
③(수정안) 광역시도당 자격심사위는 자격심사위 위원장 1인을 포함하여 3인 이상 7인 이하로 구성하며, 5인 이상인 경우에는 공동위원장 2인을 포함하여야 한다. 위원장과 위원은 광역시도당 운영위원장이 추천하고 운영위원회가 승인하여 구성한다.
제20조
① 광역시도당 운영위원장은 제14조에 따른 자격심사위 설치를 하지 못하였거나, 설치가 어렵다고 판단한 경우 공직후보자 자격 심사를 전국당 자격심사위에 위임할 수 있다.
=> 수정안을 전원합의로 승인함.
주문사항2. 후보자자격심사 당규 신설안에 따라, 후보자 자격심사위 구성안 및 승인 절차를 논의하여 승인해 주십시오.
=> 공동대표가 추천한 전국당 자격심사위 구성을 전원합의로 승인함.
■ 논의안건3. 녹색당 2022 선거특별위원회 임기 관련 논의의 건
=> 녹색당 2022 선거특별위원회의 임기 종료를 전원합의로 승인함.
■ 논의안건4.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 구성안 승인의 건
주문사항1.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 구성(안)을 승인해주십시오.
=> 찬성이 과반수가 넘어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 구성(안)이 통과됨.
찬성(18명): 서울 현영애, 인천 명창희, 청년 신현정, 서울 이상현, 경기 김혜현, 경남 송훈상, 전국 김예원, 청년 김소라, 대전 오현화, 전국 김찬휘, 충북 최시영, 전국 정유현, 당무 오영주, 경기 전길선, 전북 임준연, 충남 이재혁, 광주 임창곤, 정책 이치선
반대(0명):
기권(2명): 제주 부순정, 경남 이정옥
기권의견(제주 부순정): 지역당의 역할이 정확히 무엇인지 이해할 수 없음. 내용 숙지가 잘 안된 상태여서 표결에 참여할 수 없었음. 지역당 역할을 좀더 고민하고 결정해야한다고 생각했음.
주문사항2.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의 선거대책본부장을 위촉하여 주십시오.
=>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선거대책본부장으로 김예원 공동대표, 김찬휘 공동대표를 전원합의로 위촉함.
■ 논의안건5. 녹색당 2022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모금전략 논의의 건
=> 제출된 선거모금전략을 논의하였으며, 상세한 모금전략 기획은 전원합의로 선거대책본부에 위임하기로 함.
■ 당원발의안건1. 녹색당 풀뿌리 시민의회 추진안
※당규 <회의규정> 제11조 제2항에 따라, 당권자의 총 1%가 동의하여 안건으로 발의함.
=> 대표발의한 이상현 전국위원이 안건을 철회하고,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차기 전국위원회에서 다시 발의하기로 함.
■ 차기 전국위원회 일정
=> 2021년 11월 7일(일) 오후 1시, 온라인(추후 변경될 수 있음)으로 개최한다.
녹음기록 듣기
회의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