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위원회임시전국위원회 회의결과(2024-01-07)

녹색당
2024-01-08
조회수 1292

임시 전국위원회 회의결과(2023-01-07)

 

■ 시간 : 2024-01-07(일) 오후 1시

■ 장소 : 온라인 줌

■ 성원 : 24명 

참석 22명(존칭생략, 가나다순) : 김상윤(전북), 김유리(서울), 김수진(경기), 김종필(광주), 김태현(청소녹), 김찬휘(전국), 문성웅(청년), 민영권(경남), 부순정(제주), 박제민(서울), 오현화(대전), 이수희(충남), 이연주(강원), 이은지(청소년), 이정옥(경남), 이재혁(충남), 이치선(정책), 정미진(충북), 정민지(경북), 정유현(전국), 황정화(대구), 황진호(울산) 

불참 2명 : 우준범(경기), 진주(정책)

참관 22명 : 곽호성(전국), 김미화(경기),  김재현(인천), 김정한(경기),  김미리내(광주), 김민우(부산), 김서린(서울), 김서연(청년), 김혜미(서울), 류인해(광주), 문수영(서울), 박윤준(충북), 설세찬(강원), 오천석(경기),  원세현(부산), 이준태(전국), 전길선(경기), 조준희(서울), 채효정(강원), 하헌종(경기), 한진희(전북), 허승규(경북)


■ 회의진행 : 김찬휘 공동대표 

■ 기록 : 정유현 전국사무처장

■ 전차 회의록을 만장일치로 승인함

■ 보고안건에 대한 보고 후 질의응답 시간을 진행함

■ 논의안건 회순을 당원발의안건-논의안건1-논의안건2 순으로 진행하기로 함.


■ 논의안건3. 당원발의안건

주문사항. 기후·녹색운동 및 진보정당과 강력한 선거연합과 기후정치세력화를 위한 총선연합정당이 사실상 정의당과의 선거용 양당 통합으로 협소화된 현실에서 현재 추진되는 총선연합정당 논의를 중단한다.


원안에 대한 표결

찬성(1명): 정미진(충북)

반대(18명): 황정화(대구) 정민지(경북) 이은지(청소년) 박제민(서울) 이연주(강원) 황진호(울산) 이수희(충남) 부순정(제주) 정유현(전국) 문성웅(청년) 김유리(서울) 민영권(경남) 김종필(광주) 김상윤(전북) 이재혁(충남) 김수진(경기) 이정옥(경남) 김찬휘(전국)

기권(2명): 오현화(대전) 이치선(정책) *기권의견: 오현화(대전) 안건 자체에 동의할 수는 없고, 당원들의 우려와 취지 생각할 때 모든 것을 엎고 새로 시작하는 것까지는 어렵더라도 우리가 설득력있는 방안을 고려해봐야할 것 같아 기권함. / 이치선(정책) 일도양단으로 표결해서 끝낼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해서 기권. 타협안을 말씀드려서 더 논의되면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 있음. 

⇒ 표결 결과에 따라 과반 이상으로 부결됨 (재석: 21명). 


정회 후 재개(재석인원 16명)


■ 논의안건1. 선거연합정당 관련 당원 총투표 문안 논의의 건

주문사항. 2024년 1월 18일부터 진행될 선거연합정당 관련 당원 총투표 문안에 대해 논의 후 승인해주십시오.


1. 당원 총투표 문안(1안)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녹색당이 기후정치 세력화, 거대양당제 타파 등 당의 강령과 선거 방침 하에서 정의당을 비롯한 진보정당, 기후•녹색운동과의 선거연합정당을 구성하여 참여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당의 강령과 선거 방침 부합 여부는 2024 총선대책위원회와 전국위원회에서 함께 결정하며, 22대 총선에서 선거연합정당으로 당선된 녹색당 추천 국회의원은 선거 이후 녹색당으로 복귀합니다.)

2. 당원 총투표 문안(2안)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녹색당이 기후정치 세력화, 거대양당제 타파 등 당의 강령과 선거 방침 하에서 선거연합정당을 구성하여 참여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당의 강령과 선거 방침 부합 여부는 2024 총선대책위원회와 전국위원회에서 함께 결정하며, 22대 총선에서 선거연합정당으로 당선된 녹색당 추천 국회의원은 선거 이후 녹색당으로 복귀합니다.) 

1) 당원 총투표 설명 안내

  • 당원 총투표 일정
    • 2024년 1월 18일(목) 09:00 ~ 1월 22일(월) 18:00
  • 의결정족수: 당헌 제8장 보칙 중 제45조(의결정족수)에 따라 당의 합당과 해산 등 조직 진로에 대한 사항은 당원 과반수의 출석(투표)과 출석(투표참여)당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결정합니다. 
    • 가결시: 녹색당은 비례와 지역구 선거를 모두 선거연합정당으로 2024 총선을 치르게 됩니다.  
    • 부결시: 녹색당은 독자 노선으로 2024 총선을 치르게 됩니다.

  • 2024 총선 방침 및 목표(2023년 11월 26일 가결)

1. 녹색당은 2024년 총선에서 자본주의 성장중심주의가 낳은 삶의 위기를 해결하고 거대 양당정치와 결별하는 녹색 대안 정치를 일구기 위해, 기후•녹색운동과 연대하여 기후정치세력화를 추진한다.

2. 녹색당은 2024년 총선에서 기후정치세력화와 거대양당체제 타파를 위한 원내진입을 목적으로 기후•녹색운동 및 진보정당과 강력한 선거연합을 추진하며, 정의당을 시작으로 선거연합정당을 추진한다.

3. 2024년 1월, 녹색당은 2024년 총선에 앞서 '기후정치대회'를 개최하여, 당의 사회 비전을 담은 '기후정치선언문'(가칭)과 당의 정책적, 정치적 원칙을 담은 '기후정치강령'(가칭)을 수립한다.

2) 선거연합정당 관련 당내 논의 및 의결 과정

  • 녹색당 전국위원회 및 선거대책위원회 논의 및 의결 과정 안내


3) 선거연합정당 관련 기타 안내

  • 선거연합정당의 당명, 참여 단위, 공동 강령 및 재정운영원칙, 공동대표단 구성, 공직후보자 선출방식 등은 추후 참여정당 간 협의하여 결정합니다.
  • 22대 국회 개원 전까지 녹색당 국회의원과 녹색당은 원내 활동 원칙 및 합의안을 함께 작성합니다. 
  • 녹색당 국회의원은 원내에서 선거연합정당 정치세력과 기후정치 실현을 위해 연대 및 협력을 이어갑니다. 
  • 녹색당 국회의원은 기후정치 세력과 현장 투쟁을 이어가며, 연대체 및 상설협의기구를 구성하여 법안 발의 등 의정 활동을 해나갑니다. 

부순정(제주) 수정안 제출

괄호 내용 수정안 

(*2024 총선대책위원회와 전국위원회는 녹색당의 강령과 선거 방침 부합 여부를 함께 결정하며, 22대 총선에서 선거연합정당으로 당선된 녹색당 추천 국회의원은 선거 이후 녹색당으로 복귀합니다.)

⇒ 동의 및 재청이 없어 수정안이 상정되지 않음


황정화(대구) 수정안 제출

괄호 내용 수정안 

(*2024 총선대책위원회와 전국위원회는 선거연합정당 구성 대상에 대한 판단 및 선거연합정당의 구체적 내용과 녹색당 선거방침 부합여부를 함께 결정하며, 22대 총선에서 선거연합정당으로 당선된 녹색당 추천 국회의원은 선거 이후 녹색당으로 복귀합니다.)

⇒ 동의 및 재청을 통해 수정안이 상정됨(재석: 17명)


수정안에 대한 표결 

찬성(10명): 황정화(대구) 김상윤(전북) 정미진(충북) 이재혁(충남) 정민지(경북) 오현화(대전) 문성웅(청년) 김종필(광주) 김태현(청소녹) 이연주(강원) 

반대(7명): 정유현(전국) 부순정(제주) 이수희(충남) 김유리(서울) 박제민(서울) 김수진(경기) 김찬휘(전국)

기권(0명)

⇒ 표결 결과에 따라 수정안을 과반 이상으로 승인함(재석: 17명)


원안 1안과 2안에 대한 표결 

1안(14명): 황정화(대구) 정미진(충북) 이정옥(경남) 이재혁(충남) 박제민(서울) 정민지(경북) 김찬휘(전국) 이수희(충남) 김유리(서울) 김수진(경기) 문성웅(청년) 오현화(대전) 정유현(전국) 김태현(청소녹) 

2안(3명): 부순정(제주) 이연주(강원) 김상윤(전북)

⇒ 표결 결과에 따라 1안을 과반 이상으로 승인함(재석: 17명)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녹색당이 기후정치 세력화, 거대양당제 타파 등 당의 강령과 선거 방침 하에서 정의당을 비롯한 진보정당, 기후•녹색운동과의 선거연합정당을 구성하여 참여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2024 총선대책위원회와 전국위원회는 선거연합정당 구성 대상에 대한 판단 및 선거연합정당의 구체적 내용과 녹색당 선거방침 부합여부를 함께 결정하며, 22대 총선에서 선거연합정당으로 당선된 녹색당 추천 국회의원은 선거 이후 녹색당으로 복귀합니다.)


정회 후 재개 (재석인원 17명)


■ 논의안건2. 선거연합정당 추진 연석회의 관련 논의의 건

주문사항1. 선거연합정당 추진 연석회의 관련 아래 내용들을 논의하여 주십시오.  

  1. 선거연합정당 당명 논의의 건
  2. 선거연합정당 출범식 참여의 건
  3. 선거연합정당 대의기구 구성의 건
  4. 기타

⇒ 총선대책위원회에서 논의하고, 차기 정기 전국위원회에 추가 보고하기로 함(재석: 17명).


■ 차기 전국위원회

⇒ 2024년 1월 21일(일) 1시, 온라인으로 한다.


※회의결과 및 회의자료는 홈페이지 회의 및 보고 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녹색당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