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목사를 추모하며
2월 4일 섬돌향린교회 임보라 목사가 별세했다. 임보라 목사는 평생을 배제된 자, 차별받는 자 곁에서 함께 싸우고 함께 웃고 울었다.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현장에서, 차별금지법 제정 운동에서, 교회 내 성평등 실현을 위한 노력 속에서, ‘퀴어 성서 주석’ 번역본 출간을 통해서 임 목사는 이 사회의 폭력과 혐오, 차별과 불평등에 온몸으로 맞섰다. 특히 2013년 임 목사가 담임 목회를 시작한 섬돌향린교회는 성소수자를 비롯한 사회적 소수자들의 공동체이자 안식처가 되었다.
한국의 일부 대형 교단은 임 목사의 이런 활동을 눈엣가시처럼 여겼다. 임 목사를 ‘이단’이라 규정하고 유무형의 폭력을 자행했다. 하지만 임 목사는 꿋꿋했다. 어디서나 “성소수자는 성경적으로도 죄인이 아니며 당연히 사회에서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는 뜻을 당당하게 밝혔다. 임 목사가 자신의 몫으로 짊어졌던 일은 단지 기독교 내부의 문제가 아니었다. 우리 사회가 외면하고 기득권 정치가 부추긴 불의와 혐오의 화살을, 임 목사는 맨 앞에서 온 몸으로 맞았던 것이다. 우리는 그 화살을 막아주지도, 함께 맞아주지도 못했던 것이다.
임보라 목사는 우리 곁에 영원히 살아 있을 것이다. 이제부터 우리 모두가 임보라가 되어 살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목사님 편히 쉬세요.
2023.2.6.
녹색당
임보라 목사를 추모하며
2월 4일 섬돌향린교회 임보라 목사가 별세했다. 임보라 목사는 평생을 배제된 자, 차별받는 자 곁에서 함께 싸우고 함께 웃고 울었다.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현장에서, 차별금지법 제정 운동에서, 교회 내 성평등 실현을 위한 노력 속에서, ‘퀴어 성서 주석’ 번역본 출간을 통해서 임 목사는 이 사회의 폭력과 혐오, 차별과 불평등에 온몸으로 맞섰다. 특히 2013년 임 목사가 담임 목회를 시작한 섬돌향린교회는 성소수자를 비롯한 사회적 소수자들의 공동체이자 안식처가 되었다.
한국의 일부 대형 교단은 임 목사의 이런 활동을 눈엣가시처럼 여겼다. 임 목사를 ‘이단’이라 규정하고 유무형의 폭력을 자행했다. 하지만 임 목사는 꿋꿋했다. 어디서나 “성소수자는 성경적으로도 죄인이 아니며 당연히 사회에서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는 뜻을 당당하게 밝혔다. 임 목사가 자신의 몫으로 짊어졌던 일은 단지 기독교 내부의 문제가 아니었다. 우리 사회가 외면하고 기득권 정치가 부추긴 불의와 혐오의 화살을, 임 목사는 맨 앞에서 온 몸으로 맞았던 것이다. 우리는 그 화살을 막아주지도, 함께 맞아주지도 못했던 것이다.
임보라 목사는 우리 곁에 영원히 살아 있을 것이다. 이제부터 우리 모두가 임보라가 되어 살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목사님 편히 쉬세요.
2023.2.6.
녹색당